공정무역에 대한 오해, 그리고 직면한 논쟁들
- 이태빈
- 2015년 10월 25일
- 1분 분량
자유무역과 공정무역은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. 자유무역은 나라와 나라 사이의 무역 장벽을 없애는 것입니다. 원래 각국의 정부는 보조금이나 관세 같은 장벽을 두어 외국의 수출로부터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는데, 국가 사이의 수출과 수입 시 발생하는 국가의 다양한 규제를 자유롭게 풀어두자는 것입니다. 자유무역 시장에서는 힘이 약한 개발도상국들이 힘이 센 선진국과의 거래 시 약자의 위치에서 불공정한 수출, 수입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그런데 세계 많은 국가들이 서로 간의 자유무역 협정을 맺다 보니 개발도상국 또한 이 대열에서 빠지기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 그래서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들과 대등한 파트너가 되기 위해 선진국들의 자선적인 원조보다는, 자신들에게 정당한 무역 거래의 기회를 제공할 것을 선진국들에게 요구했습니다. 그 결과 1960년대에는 특혜 관세 제도가 등장했습다. 즉, 개발도상국의 생산자들이 자유 시장에서 또 다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자유 무역 협정을 한 상대 선진국의 수입품에 대해 특별한 세금을 부과하는 것입니다. 수입된 물품도 특별한 세금이 붙어 비싸고, 개발도상국 내의 상품도 마찬가지로 ‘공정 가격’에 의해 비싸다면, 두 경쟁 상품이 비슷한 가격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.
위의 <표1>에 제시된 불공정 무역의 사례들이 공정무역 단체들이 투쟁하고 있는 사례들입니다. 약소국이 가격을 낮추어 수출을 하거나 (덤핑 수출), 기업들이 담합하여 수출 (카르텔 가격 수출)하여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피해가 가는 경우입니다.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<표2>에서 나타나는, 빈곤국 생산자와 노동자가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경우입니다. 더불어 공정무역이 기업을 홍보하는 수단으로 전락하는 것 또한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. 그렇지만 전 세계 소비자들이 모두 공정무역 감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에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현재 공정무역은 세계 무역의 0.1%를 차지하면서 세계 700만 명의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. 매년 그 혜택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, 앞으로도 더 수많은 가난한 국가의 사람들을 생존의 위협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이라 예측다.

Comments